– 자주 나오는 주제부터 실전 작성 팁까지
호주의 Selective School 진학을 목표로 한다면, 여러 과목 중에서도 특히 많은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이 바로 Writing 영역입니다. 수학이나 독해는 반복 훈련을 통해 실력이 비교적 눈에 띄게 향상되지만, 쓰기 시험은 짧은 시간 안에 자신의 생각을 조리 있게 표현해야 하는 고난도 과제입니다. 게다가 손글씨로 작성해야 하다 보니, 시간이 부족해 끝까지 쓰지 못하는 경우도 적지 않죠. 이번 글에서는 처음 준비하는 학생도 이해할 수 있도록 Selective Writing 시험의 유형과 자주 출제되는 주제, 그리고 고득점을 위한 실전 전략까지 차근차근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 Writing 시험,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
- 시험 시간: 약 30분
- 형식: 손글씨 에세이 작성 (최대 2페이지 이내)
- 평가 방식: 창의성, 논리적 흐름, 문장 표현력, 어휘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 출제 유형:
- Narrative Writing (이야기형)
- Persuasive Writing (설득형)
✅ 두 가지 Writing 유형 자세히 살펴보기
1. Narrative Writing – 이야기 구성
이야기형 쓰기는 주어진 문장이나 장면을 바탕으로 짧은 스토리를 만드는 문제입니다.
상상력과 감정 묘사가 중요하며, 이야기 구조가 자연스럽게 연결돼야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시 주제:
- "It was the first time I had ever seen a lion…"
- "As soon as I opened the box, I realized something was wrong."
- "Write a story about a difficult decision."
📌 포인트:
무조건 멋진 이야기를 만들 필요는 없습니다. 단순한 사건 하나라도 감정 흐름과 결말이 분명하면 오히려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Persuasive Writing – 찬반 에세이
설득형 에세이는 하나의 주제를 주고, 이에 대해 찬성 또는 반대 입장을 선택해서 그 이유와 근거를 논리적으로 전개하는 방식입니다.
예시 주제:
- "모든 학교는 교복을 의무화해야 한다. 동의하나요?"
- "초등학생에게 스마트폰은 꼭 필요할까요?"
- "숙제를 폐지하는 것이 학생에게 더 도움이 된다."
📌 포인트:
의견 자체보다 근거의 명확성, 반론에 대한 대응 논리, 문장의 흐름이 평가의 핵심입니다.
✅ 고득점을 위한 글쓰기 구조 정리
Narrative 구조 예시
- 흥미로운 시작 문장
- 배경 소개 (인물, 장소, 상황)
- 주요 사건과 갈등
- 해결 또는 반전
- 짧은 마무리(느낀 점, 결말 정리)
Tip:
글을 쓰기 전에 이야기의 방향을 간단히 메모하고 시작하면
전개가 훨씬 자연스럽고 끝까지 완성하기 쉬워집니다.
Persuasive 구조 예시
- 서론 – 명확한 입장 제시
- 본론 1 – 주요 이유 + 사례
- 본론 2 – 추가 이유 + 근거
- 반대 의견 소개 후 반박
- 결론 – 입장 재확인 및 요약
Tip:
문장이 화려하지 않아도 좋습니다.
주장이 일관되고, 근거가 설득력 있게 전달된다면 고득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평가 기준, 이렇게 바뀌고 있습니다
Selective Writing에서는 다음과 같은 항목을 중심으로 평가가 이루어집니다:
- 아이디어의 창의성
- 논리적 구성과 자연스러운 전개
- 어휘와 문장 다양성
- 문법적 정확성
- 맞춤법, 구두점, 문장 부호
※ 시험관은 완성도 있는 스토리/에세이를 기대하며,
단어 수보다는 구성과 논리 흐름을 더 중요하게 봅니다.
✅ 자주 나오는 주제 유형 정리
이야기형 | 실수, 반전, 용기, 우정, 선택의 순간 |
설득형 | 교복 착용, 숙제 찬반, 휴대폰 사용, 환경 보호, 온라인 수업 |
Tip:
주제 리스트를 미리 정리해 두고 주 1~2회씩 연습하는 것만으로도
시험 당일 주제 적응력이 크게 올라갑니다.
✅ 실전 준비 팁 – 혼자서도 훈련할 수 있어요
- 타이머 설정하고 실제 시험처럼 30분 쓰기 훈련
- 첫 문장, 마지막 문장 ‘패턴’ 연습해 두기
- 반복되는 문장 대신 표현력 늘리기 연습
(예: “I was scared.” → “My hands were shaking as fear rushed in.”) - 쓰기 전에 간단한 글의 개요(Mind Map) 정리하기
- 쓴 글을 꼭 읽고 수정하기 – 부모님과 함께 검토하면 더 효과적
✅ 부모님이 도와줄 수 있는 부분
- 주제에 대한 간단한 대화부터 시작하세요.
- 아이가 이야기한 내용을 글로 정리하는 방식으로 훈련을 유도해 주세요.
- 문법보다는 논리적 흐름과 문장 구조에 집중해서 피드백해 주세요.
- “왜 그렇게 생각했어?”라고 물으며 생각 확장을 도와주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 결론 및 추천
Selective School Writing 시험은 단순히 ‘영어를 잘해야 하는 시험’이 아닙니다. 30분이라는 짧은 시간 안에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정리하고, 글로 풀어내는 종합적인 표현 능력을 평가하는 과목입니다. 성공적인 준비의 핵심은 반복 연습 + 구조 이해 + 실전 감각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아이 스스로가 자기 생각을 ‘글’로 말하는 것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습과 피드백을 이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